리스트(list) 자료형
리스트 자료형은 보통 변수에 대입된 요소들을 작성자가 원하는대로 정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 졌습니다.
리스트(list)는 a = [요소1, 요소2, 요소3] 의 공식으로 중괄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[[[[[[ex[[[[[ a = [] / 리스트 안에 요소를 넣지 않을 경우, a = list() 로 출력이 가능합니다.
[[[[[[ex[[[[[ b = [1, 2, 3] / 숫자(정수형)로도 값을 넣을 수 있고
[[[[[[ex[[[[[ c = ['He', 'is', 'good'] /문자형으로도 값을 넣을 수도 있습니다.
[[[[[[ex[[[[[ d = [1, 2, 'he', 'is'] / 정수형과 문자형을 같이 값을 넣을 수도 있습니다.
[[[[[[ex[[[[[ e = [1, 2, ['he', 'is'] ] / 한 요소를 ['he', 'is']로도 넣을 수 있습니다.
리스트(list)의 인덱싱
1. 리스트(lsit) 인덱싱
[[[[[[ex[[[[[ a = [1, 2, 3]
[[[[[[ex[[[[[ print(a = [0])
[[[[[[ex[[[[[ a = [1, 2, 3]
[[[[[[ex[[[[[ print(a = [-1])
리스트도 인덱싱을 통해 원하는 값을 뽑아낼 수 있습니다.
2. 리스트(lsit) 인덱싱의 사칙연산
[[[[[[ex[[[[[ a = [1, 2, 3]
[[[[[[ex[[[[[ print(a[0]+a[1])
또한, 리스트의 값들을 더하기, 빼기, 곱하기, 나누기 등 사칙연산도 가능합니다.
3. 리스트(list)의 리스트 인덱싱
[[[[[[ex[[[[[ a = [1, 2, 3, [a, b, c['is', 'good']]]
[[[[[[ex[[[[[ print(a[0])
print(a[0]) 을 출력하게 되면 평소와 같이 출력이 되지만, 리스트안에 있는 리스트를 출력하고 싶을 때에는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.
[[[[[[ex[[[[[ a = [1, 2, 3, ['a', 'b', 'c',['is', 'good']]]
[[[[[[ex[[[[[ print(a[3][3][0])
이렇게 입력을 하게되면, 리스트 안에 있는 리스트 안의 'is' 를 출력 할 수 있게 됩니다.
※ 리스트와 문자열 더하기
[[[[[[ex[[[[[ a = [1, 2, 3]
[[[[[[ex[[[[[ print(a[1]+"python")
으로 입력을 하면 "2python"으로 입력 될 것 같지만, '2'의 정수와 "python"의 문자열은 덧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수2를 str()으로 문자로 만들어주어야합니다.
[[[[[[ex[[[[[ a = [1, 2, 3]
[[[[[[ex[[[[[ print(str(a[1])+"python")
리스트(list) 합치기
1. 리스트 합치기
[[[[[[ex[[[[[ a = [1, 2, 3]
[[[[[[ex[[[[[ b = [4, 5, 6]
[[[[[[ex[[[[[ print(a+b)
리스트 'a' 와 리스트 'b'를 합치면 a와 b를 합친 하나의 리스트가 만들어지게된다.
2. 리스트 반복하기
[[[[[[ex[[[[[ a = [1, 2, 3]
[[[[[[ex[[[[[ print(a*3)
리스트 'a'를 3번 반복한 하나의 리스트가 만들어지게 된다.
3. 리스트 길이 구하기
[[[[[[ex[[[[[ a = [1, 2, 3]
[[[[[[ex[[[[[ print(len(a))
리스트 'a'의 값의 갯수를 구할 수 있게됩니다.
리스트의 수정과 삭제
1. 리스트 수정
[[[[[[ex[[[[[ a = [1, 2, 3, 4, 5]
[[[[[[ex[[[[[ a[1] = 5
[[[[[[ex[[[[[ print(a)
a[1]에 원하는 값을 입력을 하게 되면, 'a'리스트의 a[1]의 위치에 있는 값 '2' 는 '5'로 바뀌게 됩니다.
2. 리스트 삭제
[[[[[[ex[[[[[ a = [1, 2, 3, 4, 5]
[[[[[[ex[[[[[ del = a[1]
[[[[[[ex[[[[[ print(a)
del에 원하는 위치를 입력하게 되면, 그 위치에 있는 값은 삭제가 됩니다.
2-1. 리스트 슬라이싱 삭제
[[[[[[ex[[[[[ a = [1, 2, 3, 4, 5]
[[[[[[ex[[[[[ del = a[1:]
[[[[[[ex[[[[[ print(a)
'del = a[1:]' 로 입력하면, a[1]위치부터 뒤에 있는 요소들 모두 삭제가 됩니다.
list 관련 함수
- append, sort, reverse, index, insert, remove, pop, count, extend
'코딩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딕셔너리 자료형과 활용하기 (python파이썬) (0) | 2022.07.21 |
---|---|
문자열 자료형과 활용하기 (python파이썬) - (2/문자열 format) (0) | 2022.07.20 |
문자열 자료형과 활용하기 (python파이썬) - (1/문자열, 인덱싱, 슬라이싱) (0) | 2022.07.19 |
숫자형 자료형과 활용하기 (python파이썬) (0) | 2022.07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