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코딩/python

문자열 자료형과 활용하기 (python파이썬) - (2/문자열 format)

문자열 format(포메팅)

※ 문자열 포메팅(Formatting)이란? : 문자열 사이에 변수의 값을 대입 시키는 것입니다.

format은   .format(변수1,변수2,.......)   의 공식으로 사용됩니다.

1. ' {} '으로 format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  print("나는 {}일 뒤에 {}을 간다.".format(3,"여행"))

' {} '으로 format을 하면, 대입한 순서대로 기입이 됩니다.

2. 변수로 대입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     day = 3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     where = "여행"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     print("나는 {}일 뒤에 {}을 간다.".format(day,where))

format(변수1,변수2)으로 대입이 되면, 변수의 값을 대입시킵니다.

3. format의 순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     day = 3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     where = "여행"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     print("나는 {0}일 뒤에 {1}을 간다.".format(day,where))

대입할 문장의 format부분의 순서를 {0}, {1}으로 정해주시면, .format()부분의 인덱스는 0으로부터 시작하여 대입을 하게 됩니다.

만약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     print("나는 {1}일 뒤에 {0}을 간다.".format(day,where))

으로 출력을 시킨다면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     나는 여행일 뒤에 3을 간다.

라고 출력이 됩니다.

4. format 사용시, { }을 출력시키기

※공식 : {{{0}}}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     print("나는 {{{0}}}일 뒤에 {0}을 간다.".format(day,where))

라고 출력을 시키면,   나는 {3}일 뒤에 여행을 간다.   라고 출력이 됩니다.

5. format으로 문자열 정렬

왼쪽 정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      print("{0:<10}".format(3),"hi")

("{0:<10}".format(3),"hi")의   (:<10)   는 3을 맨 처음 출력한 뒤, 10칸을 띄우고, "hi"라는 문구를 입력한다는 의미이다.

오른쪽 정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     print("{0:>10}".format(3),"hi")

("{0:>10}".format(3),"hi")의   (:>10)   는 10칸을 띄우고, 3을 출력한 뒤, "hi"라는 문구를 입력한다는 의미이다.

가운데 정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     print("{0:^10}".format(3),"hi")

공백값 채우기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     print("{0:/^10}".format(3),"hi")

{0:/^10}으로 출력을 하면 가운데 정렬을 하고, 남은 자리(공백)에는 "/"이라는 문구를 입력하게 됩니다.

format의 다른 방식 ' f '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     num = 30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     name = "kjhong"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     print(f"저의 나이는{num}입니다. 이름은{name}입니다.")

f"저의 나이는{num}입니다. 이름은{name}입니다."   의 형식으로 출력을 시키면, 대입할 문장 뒤에 format형태를 적지 않아도 ' f '하나로 format 형태를 상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[[[[[ex[[[[[      소수 방식 설면

 

format함수 외에도 문자열의 다양한 함수(count, find, index, join, upper, lower, lstrip, rstrip, strip, replace, split)들이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