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코딩/python

문자열 자료형과 활용하기 (python파이썬) - (1/문자열, 인덱싱, 슬라이싱)

'문자열 자료형' (String)

문자열 타입으로 흔히 쓰이는 문자, 숫자 등 (" ")안에 들어가는 것들을 '문자열 자료형'이라고 합니다.문자열은 크게 4가지로 나뉘어 집니다.

  1. 작은 따옴표 (' ') 사용하기
  2. 큰 따옴표 (" ") 사용하기
  3. 작은 따옴표 3개 (''' ''') 사용하기
  4. 큰 따옴표 3개 (""" """) 사용하기

1. 작은 따옴표 (' ') 사용하기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[ a = ('나는 "어머니~ "라고 불렀다.')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[ print(a)]]]]]] 사진 사진

말하고 싶은 문장 속에 큰 따옴표(")가 있으면 작은 따옴표(' ')를 사용하면 됩니다.

2. 큰 따옴표 (" ") 사용하기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[ a = ("She's my mom.")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[ print(a)]]]]]] 사진 사진

말하고 싶은 문장 속에 작은 따옴표(' ')가 있으면 큰 따옴표(")를 사용하면 됩니다.

3. 작은 따옴표 3개 (''' ''') 사용하기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[ a = ('''나는 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    "어머니"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    라고 불렀다.''')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[ print(a)]]]]]]     사진 사진

줄바꿈(\n)을 사용 하지 않고, 그대로 줄 바꾼 그대로 출력하고 싶을때 작은 따옴표 3개 (''' ''')를 사용하면 됩니다.

4. 큰 따옴표 3개 (""" """) 사용하기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[ a = ("""나는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    "어머니"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    라고 불렀다.""")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[ print(a)]]]]]]     사진 사진

위의 3번과 동일하게 줄바꿈(\n)을 사용 하지 않고, 그대로 줄 바꾼 그대로 출력하고 싶을때 작은 따옴표 3개 (''' ''')를 사용하면 됩니다.

※ 줄바꿈 : 보통 (\)n으로 사용되며, 프로그램으로 들어가 사용 하였을때 '역 슬래쉬'로 표현이 된다. 말 그대로 쭉 옆으로 쓰는 것이 아니라, \n을 사용하게 되면 밑에 줄로 넘어가게 된다.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  이스케이프 코드 표 적기]]]]

문자열 더하기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[    a = "python"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     b = " is good"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[    print(a+b)   ]]]]]]     사진 사진

문자열 "python"이라는 문장을 가진 변수 'a' 와, 문자열 "is good"이라는 문장을 가진 변수 'b' 를 더하여 봅시다.

이렇게 되면, 문장이 서로 합쳐져 python is good 을 출력하게 됩니다.

문자열 곱하기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[    a = "python"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     print(a*2)     ]]]]]]]]     사진 사진

이렇게 되면, 문자열 "python"이라는 문장을 가진 변수 'a'를 2 곱하는 것으로 출력이 됩니다.

출력값은 pythonpython 입니다.

문자열 길이 구하기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[    a = "give me"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[    print(len(a))         ]]]]]]]]]     사진 사진

문자열 "give me"이라는 문장을 가진 변수 'a' 의 문자열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.

※ 띄워쓰기도 포함 됩니다.

문자열 인덱싱

※ 인덱싱(Indexing)이란? : 뽑아낸다는 의미로 한 문자만 뽑아 냅니다.

인덱싱은   변수[위치]   의 공식으로 사용 됩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[[[ex[[[    a = "python"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     print(a[1])     ]]]]]]]]     사진 사진

("p"=0, (-6)   /   "y"=1, (-5)   /   "t"=2, (-4)   /   "h"=3, (-3)   /   "o"=4, (-2)   /   "n"=5, (-1) )

대부분의 프로그램 언어에서는 첫 시작점의 위치를 [0]으로 약속하였습니다.

또한, 뒤에서 부터 값을 매겨 위치를 알아내는 법도 있습니다.

맨 뒤의 위치를 [-1]으로 시작하여 뒤에서부터 앞으로 갈수록 -2, -3 ..... 순으로 위치을 매깁니다.

문자열 슬라이싱

※ 슬라이싱(Slicing)이란? : 인덱싱과 같은 개념이지만, 인덱싱과는 다르게 원하는 문장을 뽑아 낼 수 있습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[[[ex[[[    a = "python is good"

              [[[ex[[    print(a[0:6])     ]]]]]]]]     사진 사진

슬라이싱은   변수[첫 위치:끝위치]   의 공식으로 사용 됩니다.

첫 위치부터 끝 위치 전까지 출력합니다. ex) [0:6] 은 [0], [1], [2], [3], [4], [5]의 위치까지 출력이 됩니다.

만약   a[8:]   으로 입력이 되면, 변수 a의 위치8~끝까지 출력이 됩니다.

또한   a[:8]   으로 입력이 되면, 변수 a의 첫번째 부분부터 [7]위치까지 출력이 됩니다.

또한   a[:]   으로 입력이 되면, 변수 a의 처음부터 끝까지 출력이 됩니다.

또한   a[8:-2]   으로 입력이 되면, 변수 a의 위치8 ~ 뒤에서 부터 [-2]부분까지 출력이 됩니다.